카테고리 없음

USB, 외장하드 포맷 방법 & 차이점 (NTFS, FAT32, exFAT)

돈까스300 2021. 12. 24. 20:18

 

「 USB, 외장하드 포맷하는 방법 」

 

 

1) USB, 외장하드를 컴퓨터, 노트북 USB 슬롯에 삽입합니다.

2) 내 PC 장치 및 드라이브에 인식된 USB를 선택 합니다.

 

 

3) 인식된 USB 드라이브에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합니다.

4) 포멧(A)... 선택.

 

 

 

5) 파일 시스템 (F) 에서 포맷할 형식을 선택합니다. NTFS, FAT32(기본값), exFAT 중 선택.


「 FAT32 방식 」

-. FAT (File Allocation Table)

오래전 MS-DOS, 윈도우 98 시절부터 주로 사용하던 기본적인 포맷 방식 윈도우나

맥 OS에서 모두 인식하기 때문에 맥북 페러럴즈 사용 시 유용하다. 호환성이 좋으며, 안정적이지만 확장성은 좋지 않다.

치명적인 단점은 FAT32 방식으로 포맷을 하게 되면 4GB 이상의 파일 저장이 불가하다. USB 32GB 이하에서만 지원한다. (64GB 이상 USB, 외장 하드에서는 해당 포맷 방식 불가)

 

NTFS 방식

-. NTFS (New Technology File System)

FAT32 포맷 방식의 최대 단점인 저장용량의 제약을 해결하여 나온 방식.

4GB ~ 16TB 파일까지 지원 (외장하드는 대부분 NTFS 포맷 방식을 사용) 맥 OS에서는 읽기만 가능하고 쓰기가 불가하기 때문에 호환성이 낮음. (별도 프로그램 필요)

 

exFAT 방식 

-. exFAT (Extended File Allocation Table)

FAT32 방식의 개선된 방식으로 4GB 이상 단일 파일 전송이 가능하다.

NTFS 보다 호환성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단점으로는 안정성이 좋지 않고 USB, 외장하드를 제거할 때 '안정하게 제거 옵션 없이 제거하게

되면 데이터가 손상되거나 지워질 수도 있다.


 

6. 포맷 옵션(O) -> 빠른 포맷(O) 체크 선택.

7. 시작 -> 경고 확인 -> 포맷완료.


「 결론 」

1) PPT나 과제 파일 저장의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 32GB 이하의 USB를 'FAT32' 방식으로 사용.

2) 용량이 큰 64GB 이상 USB 또는 외장하드 경우

▶ 'NTFS' 방식으로 사용.

3) 맥북을 사용하는 경우

▶ 'NTFS'를 인식하는 프로그램을 사용.


「 마치며 」

비록 사소하지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오늘 포스팅도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 마치겠습니다.